리빙클래식뉴스 탁계석 평론가 | 이번 파주시 문화예술과 와 국제문화공연교류회에서 주관하는 에스토니안 국립오페라 영콰이어 초청 내한공연 (Estonia National Opera Young Choir)이 있다. 이번 공연은 11월 25일 (금) 오후 7시 30분 파주 솔가람아트홀, 11월26일(토) 오후 1시에는 원주 문막의 특별한 공연장 유알컬쳐파크에서 진행된다. 에스토니아국립오페라영콰이어 (Estonia National Opera Young Choir)는 1971년 에스토니아 국립오페라 극장의 다양한 연주를 담당하기 위해 Venno Laul에 의해 창단되어 현재 제2대 Hirvo Surva가 음악감독으로 이끌고 있다. 연령대별로 세분화된 4개의 합창단이 신체적 음악적인 수준에 맞추어 체계화된 북유럽식 교육시스템을 바탕으로 콘서트, 오페라, 뮤지컬 등의 다양한 연주로 관객과 호흡하고 있다. 음악적 가치가 매우 깊은 나라 ‘에스토니아’ 에스토니아는 핀란드와 라트비아 사이에 위치한 작은 북유럽 국가이다. 수도는 탈린(Tallinn)이며 인구는 약 133만 명으로 경기도 수원시의 인구보다 조금 더 많다. 에스토니아는 기술적으로 매우 발전된 국가로 특히 IT는 세계
리빙클래식뉴스 탁계석 평론가 | 불가리아 나라에 대해 여러분은 얼마나 알고 있을까? 이같은 질문에 일부는 관광으로 들러긴 했지만 경치 밖에 보지 못했다 할 것이다. 때문에 풍경이 아닌 이들의 역사와 삶이 녹아든 문화에 접근하기란 쉽지 않다. 이런 점에서 '2022 동서악회 & 소피아뮤직위크 국제교류'는 나라와 나라의 음악가들이 서로가 교류를 통해서 지구촌 일원으로서 살아가면서 사는 방식은 거의가 똑같다는 공동체적 연대감을 발견한 것이 아닐까 싶다. 처음엔 다소 어색했으니 연주가 진행되면서 조금씩 풀려나갔다. 서로가 싸온 보따리를 풀어 놓고 소풍온 사람들처럼 먹다 보니 반가움과 즐거움이 있었다. 음악이란~ 문화~ 란 가장 빠르게, 정확하게, 말이 통하지 않는 사람들 끼리에게서 소통하는 방식이란 것을 새삼 깨닫게 했다, 11월 17일 오후 5시 한남동 일신홀. 한 시간 여에 걸쳐 영상으로 불가리아 전통과 민속을 보았고 소피아 뮤직위크 디렉터 Momchil Georgiev의 해설, 통역(김수미)로 다양한 것들을 보았다. 특히 탈에서 공통점이 있어 친밀했고 객석의 질문도 있어 짧지만 소중한 경험이었다. 이어 7시 30분 부터 콘서트가 있었다. '향과 탈춤의
리빙클래식뉴스 탁계석 평론가 | 케이팝이 나온 이후에 대중음악의 속성을 간파한 평론가는 모든 것은 변화해 나갈 것이고 질적인 상승으로의 변주가 올 것이라 예상했다. 그래서 K클래식을 브랜드로 상표등록을 하였고, 10년에 걸쳐 홍보에 주력했다. 이제 K클래식은 보통명사가 된 듯 언론에서 마구 쓰는 용어가 되었다. 급기야 엊그제 박보균 문체부장관은 ‘K클래식은 K컬처의 정수’라는 어록(?)을 남겼다. 중요한 것은 브랜드 못지않게 실체가 되는 작품이다. 그 소재와 완성도가 글로벌 시장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어떻게 소화될 것인가 하는 점이다. 그러니까 2012년부터 8 작품의 칸타타를 완성한 것이다. 그 사이에 오페라 4편과 가곡 30편의 대본과 가사를 썼다. 칸타타 한강(임준희), 송 오브 아리랑(임준희), 조국의 혼(오병희), 달의 춤(우효원), 태동(우효원), 동방의 빛(오병희), 코리아 판타지(오병희), 훈민정음(오병희)이다. 탁계석 K클래식 회장 한국경제문화연구원 문화대상 수상과 K클래식 작품들 칸타타(Cantata)란 무엇인가? 이태리 말 ‘노래하다’라는 뜻의 칸타레(Cantare)에서 나왔다. 주로 성서 텍스트를 가사로 만들어 합창곡으로 사용했다.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