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계석 노트] K-성악학회 창립 취지문
리빙클래식뉴스 탁계석 회장 | 해방 이후 우리 음악 예술은 일취월장, 놀라운 성장과 성취를 이루어왔다. 그중에서도 성악은 가장 눈부신 국제적 성과를 이룩한 분야다. 조수미, 홍혜경, 신영옥, 최현수, 연광철을 비롯해 많은 성악가들이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비엔나 슈타츠오퍼, 미국, 독일 주요 오페라극장 등 세계 정상의 무대에서 주역으로 활약했다. 한국 성악의 기량이 세계적 수준임을 의심하는 사람은 더 이상 없다. 그러나 눈부신 개인의 성취와 달리, 한국 성악 생태계 전체는 구조적 한계에 직면해 있다. 국내 오페라하우스는 아직 본격적 운영 시스템을 갖추지 못했고, 성악가의 생존 구조는 교수직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성악계는 “공연 시장의 확장”이 아닌 “직업 안정성의 극한 경쟁” 속에서 정체되어 버렸다. 이제 한국 성악은 기술·기량의 시대를 넘어 콘텐츠와 레퍼토리 중심의 시대로 이동해야 한다. 다시 말해, 성악의 연주 기술력보다“무엇을 어떻게 부를 것인가”라는 본질적인 질문 앞에 서 있다. 반복된 서양 레퍼토리의 한계, 콘텐츠 전환의 필요성 지난 수십 년간 한국 오페라는 약 20개 미만의 서양 인기 레퍼토리만을 반복해 왔다. 라보엠, 라 트라비아타
- 탁계석 회장 기자
- 2025-11-15 00:03